F.A.

정보의 바다, 인터넷이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웹브라우저(Web Browser) 시장의 변화 때문이다. 한시대를 풍미했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단계별 종료가 확실해지며 그 자리를 차지하려는 경쟁이 본격적으로 닻을 올렸다. 팬데믹 상황에서 인터넷 서비스의 시작이자 가이드 역할을 하는 웹브라우저 시장의 변화를 짚어본다.

 

인터넷 제국의 탐험대장에서 천덕꾸러기로

지난 8월, 마이크로소프트(MS, Microsoft)는 윈도(windows)95 탄생 25주년을 기념하는 영상을 올렸다.

마이크로소프트가 PC를 지배하던 시절, 새로운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 출시는 매번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특히 윈도95는 그동안의 도스(DOS, Disk Operating System) 체제와는 확실히 달랐다.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멀티태스킹,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등은 현재 일반화된 기능이지만, 당시에는 혁신 그 자체였다.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기본 탑재된 것도 그중의 하나다. 당시 웹브라우저 시장의 리더는 최초의 상용화 웹브라우저인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Netscape Navigator)였다. 이 웹브라우저는 혜성처럼 나타나 시장의 90%를 차지하며 인터넷 바람을 몰고 왔다. 위기를 느낀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95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기울어진 운동장 덕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출시 3년만인 1998년, 처음으로 넷스케이프 내비게이터를 제쳤다. 미국 법무부가 윈도95 끼워팔기를 문제 삼았지만,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결국 웹브라우저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인터넷이 대세로 떠오르며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승승장구했다. 그리고 브라우저 시장에도 새로운 얼굴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모질라(Mozilla), 파이어폭스(Firefox), 애플(Apple), 사파리(Safari), 구글 크롬(Google Chrome) 등 경쟁 브라우저가 등장했다.

 

*GUI: 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GUI의 등장 전에는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야 했다.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컴퓨터 운영 체계에서 시스템을 설치하면 별도의 설정 없이 기동하는 것.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을 넣으면 시스템이 부팅된 다음 자동으로 호출되어 실행되도록 프로그램된 운영 체계 등을 말한다.
세계 데스크톱 웹브라우저 시장 점유율 2009-2020년 추이 Ⓒ statcounter

인터넷 트렌드 변화와 후발주자들의 선전으로 독주하던 익스플로러의 점유율은 차츰 낮아졌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Statcounter)에 따르면 90%를 넘던 익스플로러의 웹브라우저 시장 점유율은 2009년 59%까지 떨어졌고, 2012년 5월에는 1위 자리를 크롬에 내줬다. 2015년에는 파이어폭스에 2위 자리마저 뺏겼다.

 

익스플로러는 빠른 속도와 성능을 앞세운 경쟁사와의 싸움에서 밀려 급격히 퇴보하기 시작했다. 익스플로러는 특히 액티브 X 등 폐쇄성과 보안 문제로 외면을 받았다. 심지어 2014년 미국 국토안보부가 직접 나서 익스플로러가 외부 원격 공격에 취약하니 다른 웹브라우저 사용을 권고한다는 성명을 발표했을 정도였다. 모바일 쏠림 등 시장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은 것도 뼈아픈 실패로 이어졌다.

 

여전히 국내에서는 익스플로러가 나름대로 선전하고 있지만 예전 같은 위상은 아니다. 최근 조선일보는 홈페이지 전면 개편에 대한 기사를 올렸다. 그 제목은 ‘새 조선일보 홈페이지는 크롬으로 보세요’였다. 워싱턴포스트 방식으로 새롭게 제공하는 뉴스를 홈페이지와 앱에서 제대로 보는 방법을 안내하며, 익스플로러에 대해 “한때 가장 많이 쓰이던 접속 프로그램 익스플로러는 현재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술 지원을 중단하고 폐기 절차를 밟고 있는 구형 버전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외부 해킹 등 보안 우려도 큰 만큼 전문가들은 다른 웹브라우저를 쓰라고 권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식 분석 기사가 아닌 알림 기사에서 웹브라우저 사용 부분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이례적인 사례지만, 한편으로는 현재 시장의 변화와 흐름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기도 하다.

 

기사 내용대로 앞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안으로 자사의 사무용 서비스 팀즈(Teams)는 더는 익스플로러에서 작동하지 않을 것이고, 내년 중으로 마이크로소프트 365 등에 대한 지원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퇴출 논란을 자초했지만, 익스플로러로서는 공개적으로 체면을 구긴 셈이다.

 

보이지 않는 전쟁의 서막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익스플로러 지원 중단은 다른 경쟁 웹브라우저엔 새로운 기회임이 틀림없다. 절대강자인 크롬을 제외한 확실한 넘버2가 아직 없기 때문이다.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글로벌 데스크톱 브라우저 시장은 크롬 69.87%, 파이어폭스 8.34%, 사파리 8.27%,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 5.02%, 인터넷 익스플로러 2.61% 순이다. 익스플로러의 점유율이 어디로 가느냐에 따라 시장 순위가 요동칠 수 있다.

 

익스플로러의 의존도가 높은 국내 시장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비슷한 시기에 집계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데스크톱 브라우저 시장은 크롬 70.93%, 익스플로러 11.11%, 엣지 6.88%, 네이버 웨일(Naver Whale) 4.7%, 사파리 2.7%, 파이어폭스 1.67% 순이다. 사실상 익스플로러가 2위 선정의 열쇠를 쥐고 있다. 한번 설정하면 좀처럼 바꾸지 않는 웹브라우저 이용자의 특징을 고려하면 익스플로러가 차지하던 점유율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글로벌 3위, 국내 5위의 사파리는 애플의 맥(Mac) 등 데스크톱에서 사용하지만, 아이폰이나 패드 등 디바이스를 이용한 모바일 사용 비중이 큰 편이기 때문에 전체시장에서의 확대는 제한적이다.

 

파이어폭스는 올 3월 업데이트를 통해 10년간 바뀌지 않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며 동시에 홈페이지에 6개 경쟁 브라우저와의 일대일 비교 코너를 별도로 마련했다. 해당 코너에서는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유용성, 휴대성 등에서 파이어폭스가 훨씬 더 뛰어난 점을 강조한다. 특히 파이어폭스가 자부하는 것은 개인정보 보호다. “가능한 한 적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절대 외부로 판매하지 않습니다”라며 경쟁사와의 차별점을 부각한다. 모든 점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최우선으로 한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제작사가 비영리 단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반격, 옛 영광을 찾아서

마이크로소프트사는 2015년 출시한 엣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영광을 찾을 준비를 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출발점은 익스플로러와의 차별화다. 엣지는 윈도에 종속적인 익스플로러와 다르다는 점을 강력하게 어필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웹 표준 준수다. 차세대 웹 표준 HTML5*을 이용하고 액티브X 설치 기능을 제거했다. 또한 넘버1인 크롬을 철저히 벤치마킹했다. 복잡하고 어려운 익스플로러의 UI를 크롬처럼 단순하게 바꿨다. 브라우저 관리 방식도 크롬처럼 사용 도중 업데이트 파일을 조금씩 내려받아 브라우저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익스플로러와 같은 실패의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의지가 엿보이는 방식이다.

 

그리고 올 1월, 브라우저 엔진을 구글의 오픈 소스 운영 체제인 크로미움(Chromium)으로 완전히 바꾼 새로운 버전의 엣지를 출시했다. 그동안 자체 기술로 브라우저 시장을 공략해온 마이크로소프트가 더 가볍고 빠른 웹브라우저를 위해 전략을 바꾼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행보를 보면 익스플로러와의 오래된 방식과 확실한 결별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익스플로러 사용자에게 속도, 성능, 호환성, 보안성, 사용 편의성 등이 훨씬 우수한 엣지의 새로운 기능을 어필한다. 기존 익스플로러의 약점과 한계를 드러내는 것으로 웹브라우저를 바꾸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크롬보다 빠른 속도 등을 비교하며 경쟁사와 차별점을 두는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넘버2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사는 기존의 익스플로러를 지렛대로, 때론 차별화의 포인트로 활용하고 있다.

 

*HTML5: 웹 문서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차세대 웹 언어 규격이다.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데 있어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다. 액티브X와 같은 플러그인 기반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운영체제를 가리지 않고 모두 호환된다.

 

포털 1인자, 틈새 전략으로 웹 시장을 넘보다

국내시장에서는 네이버 웨일의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2016년 말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웨일은 국내 기업이 만든 첫 웹브라우저다. 웨일은 포털에 국한하지 않고 생활 전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네이버의 생활환경지능(Ambient Intelligenc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물론 웹브라우저 시장 진출은 포털 자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네이버 웨일 사이트 Ⓒ Naver

네이버는 사용자 분석에 뛰어나고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양질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인터넷 환경에 맞춤 전략을 세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웨일 브라우저에 한글 뷰어를 기본 탑재한 것이 대표적이다. hwp 확장자인 한글 문서 파일을 별도의 뷰어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웨일 브라우저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한 화면에서 한글 뷰어로 문서를 확인하며 다른 화면에서는 인터넷 검색을 동시에 하는 식이다. 이렇듯 웨일은 국내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 하나의 창 안에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웨일은 PC와 모바일의 연결 사용성을 강화했다. 네이버 PC 화면에서 그린닷을 누르면 모바일 네이버앱에서 감상하던 네이버TV 동영상, 네이버 뉴스, 또는 웹페이지를 PC에서도 그대로 이어서 볼 수 있다. 모바일 검색이 PC 검색보다 3배 이상 많은 사용자의 모바일 사용 경험을 고려한 방식이다.

 

현재 웨일은 후발주자의 한계를 넘기 위해 제휴 마케팅을 통한 우군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올 1월 한국인터넷PC문화협회와 제휴를 맺고, 전국 1만여 PC방 사업장의 특성에 최적화한 전용 브라우저를 공급하기로 했다. 5월에는 금융결제원과 업무협약을 맺고 금융결제원 인증서 클라우드서비스를 웨일 브라우저에 탑재키로 했다. 최소한의 플러그인 설치도 필요 없이 바로 웨일 브라우저 내에서 공인인증 기반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금융결제원의 브라우저 인증서와 인증서 클라우드 서비스는 12개 시중은행과 정부24, 홈택스 등 26여 개 공공 민원 사이트에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7월에는 경남교육청과 협력해 웨일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형 교수 학습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웨일은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높이고 있다. 2018년 1월 0.99%, 2019년 1월 1.14%, 2020년 1월 3.56%의 점유율로 웹브라우저 시장에서 순조롭게 몸집을 불리는 중이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8월, 익스플로러와 엣지를 제치고 처음으로 전체 4위에 이름을 올렸다. 여세를 몰아 네이버는 보안 기능이 강화되고 클라이언트의 특성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기업·공공 전용 웹브라우저 웨일 엔터프라이즈(Whale Enterprise)를 하반기에 선보일 계획이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비대면은 이제 필수가 되었다. 더불어 웹 사용량이 증가했으며, 그 중요성 역시 커지고 있다. 그렇게 몸집이 커진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물러나며, 웹브라우저 시장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그 빈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크롬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업체 간 격차는 점점 더 좁혀지는 추세다. 좀 더 가볍고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가장 고무적인 점은 그 중심에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가 있다는 것이다. 국내 업체의 약진도 반갑다. 이러한 변화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웹이 나아갈 바를 조금이나마 제시하는 것 같다. 아울러 혁신을 등한시하고, 1등 매너리즘에 빠져 쓸쓸한 퇴장을 앞둔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던진 메시지가 모쪼록 많은 기업과 리더들에게 살아있는 사례가 되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