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을 이루는 지역들이 각각의 지역문화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N개의 서울>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동네의 문화 자원을 발견하고, 연결하는 과정, 동네의 문제X이슈를 문화적으로 접근하는 시도, 동네를 바꾸는 움직임을 통해, 동네 곳곳에서 만드는 새로운 서울X문화를 기대합니다.


 

성동문화재단의 성동별곡 마을탐사 프로젝트는 각 분야의 예술가들이 지역에서 예술적・문화적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작품으로 만들어가는 지역 탐사 프로젝트다. 성수동과 옥수동을 중심으로 진행한 작년 시즌 1에는 8명의 예술가가 참여했다. 이들은 4인의 성수동 탐사단과 4인의 옥수동 탐사단로 나뉘어, 동네의 이야기와 숨은 자원을 찾아내는 것에 집중했다. 두 탐사단은 서로 의견을 나누며 다양한 동네 예술 문화 기획안을 만들었고, 2018 서울숲 돗자리 페스타에서 그 기획안을 발표하고 체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축제를 찾은 주민들이 투표로 뽑은 작년의 심화 기획안은 올해 정식 사업으로 채택되어, 성수동과 옥수동에서 각각 진행되고 있다.

 

올해 사근동과 용답동을 중심으로 열린 성동별곡 마을탐사 프로젝트 시즌 2에는 6명의 예술가들이 참여했다.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스페이스 오매의 대표인 서수아 작가, 카메라 캘리브레이터이자 포토그래퍼 서민홍 작가, 업사이클링 아트 스튜디오 아르크 마인드의 대표 이혜수 작가, 목공예 공방을 운영하는 사근동 주민 최석한 작가, 임진철 하모니카 연주자와 김희수 첼리스트까지, 작년에는 탐사단이 두 지역으로 나누어져 활동했다면, 올해는 6인이 한 팀으로 움직인다. 단원 각자가 지역 문화예술 프로젝트 기획안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던 시즌 1과 달리, 시즌 2에서는 모두가 함께 하나의 테마로 동네의 이야기를 담은 기획전을 준비했다. 덕분에 리서치와 기획, 작업부터 전시까지 참여 예술가들의 손이 안 닿은 곳이 없는 마을 전시가 완성되었다.

<새시절>전이 열리고 있는 용답 축산 내부

동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변화의 시작을 담는 성동별곡 마을 탐사단

지역 공간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전시를 위해 올해 성동별곡 마을 탐사단은 6월부터 9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사근동과 용답동의 골목을 직접 뛰어다니며 주민을 만나고 동네의 이야기를 모았다. 시즌 초반에는 단원 개개인의 강한 개성 때문에 함께 어우러지는 작품과 공연에 대한 고민이 길었다. 하지만 여러 번의 회의를 거쳐 동네의 과거와 현재, 변화를 고루 담아낸 마을 전시 기획이 탄생했다. 성동별곡 마을 탐사단은 재개발을 앞둔 용답동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마을 전시 <새시절>을 기획하고, 사근동의 이야기를 녹여낸 작품과 공연을 준비했다. <새시절>전의 주제는 변화의 시작이다. 과거를 간직하면서도 한편으로 빠른 변화가 일어난 사근동과 용답동의 모습에서 영감을 얻었다.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단어 시절과 새로움을 뜻하는 새가 합쳐진 <새시절>은 동네의 오래된 기억과 새로운 변화를 모두 담고자 하는 바람으로 만들어졌다.

 

이 전시는 9월 27일부터 28일까지 용답 푸르미르 상가 시장에 위치한 용답 축산과 윤스 커피 양쪽에서 열렸다. 용답 축산에서는 공간의 기억에 작품이 자연스럽게 스며든 전시를 진행했다. 모든 전시 작품은 정육점이었던 기존 공간의 거울과 벽지 등 오래된 모습과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었다. 용답동에서 나고 자란 사장님이 운영하고 젊은 층이 많이 찾는 윤스 커피는 바쁜 일상에서 잠시 멈춰 커피를 즐기며 사진도 찍는 편안한 전시와 공연으로 채워졌다. 용답시장을 찾았던 동네 주민들은 자연스럽게 장바구니를 들고 용답 축산을 구경했다. 근처에서 장사하던 상인도 잠시 일손을 내려놓고 전시장을 찾았다. 빈 가게에 전시가 열렸다는 소문을 듣고 궁금해서 찾아온 주민도 있었다. 이전의 정육점을 기억하는 주민은 썰렁한 공간이 전시장으로 바뀐 것을 보고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전시를 보려면 미술관처럼 특별한 곳까지 멀리 가야하는 줄 알았다며 어르신들도 환히 웃으며 관람을 즐기셨다. 윤스 커피의 손님들은 늘 바쁘게 지나치던 곳에서 잠시 멈춰 작품을 구경하고 사진을 찍으며 즐거워했다. 성동별곡 마을 탐사단의 기획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동네의 시간을 가로질러 빛나는, <백만 송이 장미>와 <I see U>의 서수아 작가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스페이스 오매의 대표인 서수아 작가는 자투리 천으로 만든 장미와 반짝이는 작은 크리스탈을 줄로 엮어 작품을 완성했다. 하루 24시간을 의미하는 24개의 줄로 구성된 작품은 마주 보는 거울에 반사되어 끝없이 이어지는 과거와 현재, 미래의 나날을 보여준다. <백만 송이 장미(Million Roses)>라는 작품은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의 중요한 것들을 새로운 시선으로 볼 수 있다면 더 나은 미래가 찾아올 것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는 재개발을 앞둔 용답동을 향한 작가의 바람이기도 하다. 그 바람대로, 전시를 찾은 주민들은 수많은 장미 사이로 자신을 비춰보며 앞뒤로 끝없이 펼쳐진 인생의 꽃길을 바라보는 즐거움을 누렸다. 윤스 커피에는 서수아 작가의 또 다른 작품도 전시되었다. 소중한 가치는 가까운 주변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은 작품 <I see U>는 서수아 작가가 공원을 걷다 LOVE U라는 글자를 떨어진 나뭇가지에서 발견한 순간을 담아냈다.

서수아 작가
서수아 작가의 작품 사이에서 사진을 찍는 주민들의 모습

동네의 변화를 바라보는 낯선 시선, <용답 2019>의 서민홍 작가

카메라 캘리브레이터(카메라의 색과 밝기를 교정하는 사람)이자 포토그래퍼 서민홍 작가는 직접 캘리브레이션한 적외선 카메라로 용답동의 모습을 담았다. 일상을 낯설게 포착한 작품을 보며 동네 주민들은 익숙하던 공간을 완전히 새롭게 보는 경험을 즐겼다. 서민홍 작가의 작품 <용답 2019>에는 재개발로 사람들이 모든 것을 챙겨 떠난 후에도 그 자리를 지키는 나무의 모습이 담겨있다. 변화하는 용답동의 현재에서 동네의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생각해볼 수 있는 작품이다. 그 앞에서 주민들은 동네에 대한 걱정과 희망을 함께 나누기도 했다.

서민홍 작가
빈집에 남은 나무들을 직접 캘리브레이션 한 카메라로 담은 서민홍 작가의 <용답 2019>

동네의 마음과 함께 나는 나비, <희망(Hope)>시리즈의 이혜수 작가

이혜수 작가는 업사이클링 아트 스튜디오 아르크 마인드의 대표다. 작가는 사근동과 용답동을 찍은 사진 콜라주에 희망을 담은 나비 모양을 프린팅하고, 그 위에 손으로 그림을 그려 작품을 완성했다. 그녀는 용답동에 위치한 세계 최대 규모의 새활용(Upcycling) 복합 문화공간 새활용플라자에서 2년째 작업을 이어온 지역 예술가이기도 하다. 동네의 새 것과 헌 것, 미래와 추억이 조화롭게 어우러졌으면 하는 마음으로 만들어진 <희망(Hope)>이라는 작품 시리즈는 용답 축산과 윤스 커피에 모두 설치되었다. 특히, 용답 축산에 설치된 조화로운 균형과 희망을 담은 분홍색 나비는 <새시절>전의 포토존으로 인기를 끌었다.

이혜수 작가
사근동과 용답동을 담아 용답 축산에 설치한 이혜수 작가의 작품

동네의 따뜻함을 담아 보내는 편지, <바람>의 최석한 작가

사근동에 살면서 목공예 공방을 운영하는 최석한 작가는 현대적으로 해석한 서낭당을 용답 축산 앞에 설치했다. 최근 사근동 골목의 오래된 우체통을 본인이 직접 만든 나무 우체통으로 바꾸는 주민 사업을 진행하며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사근동 남이장군 사당에서 주민들이 복을 빌었던 것을 떠올리며 만든 서낭당은 사근동과 용답동 주민들의 희망과 바람을 담는 우체통의 역할도 한다. 용답 축산의 붉은 색과도 잘 어울리는 서낭당 앞은 동네 주민들이 지나가다 전시도 보고 잠시 쉬어가는 자리가 되었다.

최석한 작가
남이장군 사당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서낭당이자 우체통인 최석한 작가의 작품

동네 사람을 감싸는 하모니, 임진철 하모니카 연주자와 김희수 첼리스트

<새시절>전에는 볼거리뿐 아니라 들을 거리도 있었다.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한 임진철 하모니카 연주자는 직접 작곡한 ‘얼굴’을 전시 기간 동안 용답 축산에서 연주했다. 잔잔한 피아노 선율에 하모니카 음색이 얹어진 이 곡은 사근동과 용답동이라는 동네의 얼굴, 그곳에서 만난 이들의 얼굴을 담아냈다. 전시를 찾은 주민들은 단순한 배경 음악인 줄 알았던 곡이 이 동네만을 위해 특별히 작곡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무척 놀라워했다. 그 얘기를 듣고는 멈춰 서서 한 곡을 다 듣고 가는 주민들도 있었다. 사근동과 용답동의 정겨운 분위기가 하모니카 연주에 잘 녹아 든 얼굴은 마을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작가들의 모든 작품을 아우르며 마을 전시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

 

임진철 하모니카 연주자와 김희수 첼리스트의 공연은 윤스 커피에서 열렸다. 하모니카와 첼로라는 생소한 조합은 시작부터 큰 기대를 모았다. 두 사람은 사근동과 용답동을 거닐며 동네에 어울릴만한 음악을 떠올린 뒤, 이를 하모니카와 첼로에 맞게 편곡해 마을 연주회를 준비했다. 연주회에서는 두 연주자들이 용답동의 공원을 거닐며 떠올린 곡 <공원에서>와 <새시절>전이 동네의 오아시스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선택한 영화 <바그다드 카페>의 주제곡 <Calling You>를 포함한 총 7곡을 들을 수 있었다. 화려하고 경쾌한 하모니카 소리와 묵직하고 부드러운 첼로의 소리가 기타와 어우러진 마을 연주회는 참석한 사람들과 주민들의 큰 박수를 받으며 마무리되었다.

첼리스트인 김희수(왼), 작곡가 임진철(우)

동네의 재발견, 지역 탐사 프로젝트는 여전히 진행 중

성동별곡 마을탐사 프로젝트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탐사단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지역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동네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문화예술에 담을 방법을 논의하기로 했다.이들은 이번 <새시절>전을 통해 마을의 공간과 역사, 문화와 사람이 어우러지는 것을 보면서 지역 문화예술 프로젝트의 지속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한다. 성동별곡 마을탐사 프로젝트 시즌 1이 주민에게 다양한 기획안을 소개하고 함께 미래를 그렸다면, 시즌 2는 기획한 전시로 직접 주민을 만나 그 반응을 현장에서 확인하고 소통하는 기쁨을 누렸다.

 

마을 탐사단은 올해뿐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지역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활발히 활동하는 마을 예술가이자 기획자, 활동가로 성장할 것이다. 동네의 역사와 시간을 소중히 여기고, 현재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함께 미래를 꿈꿀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성동별곡 마을탐사 프로젝트는 이러한 사람들의 연결고리를 계속 이어가려는 도전이다. 내년에도 계속될 성동별곡 마을탐사 프로젝트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