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철학을 공유하고 담론 형성을 통해 향후 방향을 설정한다.
<프로그램>
꿈다락 기획전시
[한 사람의 예술교육가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 Our History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2012-2018
- Multi-Voices : 예술교육 현장의 목소리와 오브제
1) Why : 꿈다락으로 들어가기
- 꿈다락 참여계기와 예술교육에 대한 동기와 관심, 내가 생각하는 예술 또는 예술교육의 의미들-
2) Myself : 예술교육가의 삶
-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 예술하는 교육가와 교육하는 예술가 사이의 다양한 생각지점 -
3) Relationship :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
- 나와 참여자들의 관계, 참여자를 바라보는 나의 시선, 관점/태도/생각의 변화와 예술 활동 경험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각 -
4) How & What : 내가 꿈꾸었던 꿈다락
- 꿈다락에 대한 개인적 정의, 바라던 점, 개인적 소감과 경험 이야기 -
5) Meditation : 새롭게 바라보고 가꾸어가는 문화예술교육
- 문화예술교육 활동과 프로그램 운에 대한 이슈, 경계나 한계를 넘어서는 도전과 노력, 예술교육 인식 의 변화, 창의성의 발견, 참여자의 주도성과 예술교육가의 역할, 내제된 발견과 표현, 놀이 -
6) Special : 꿈다락,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
- 5개 테마와 관련된 소주제를 중심으로 한 예술교육가의 메시지 영상 -
- Q-logue & A-logue : 새로운 쟁점과 답변들
- 10 Questions: 예술과 교육을 오가는 질문들
꿈다락 이야기방
[한 사람의 예술가가 만드는 문화예술교육 곳곳의 이야기]
이야기방 1, 2 모더레이터 : 김혁진
- 이야기방1 : 나는 예술가! 그리고 문화예술교육가! 두 역살 사이의 이야기
- 이야기방2 : 현장의 우연과 즉흥성, 그리고 창조적인 교육계획
이야기방 3, 4, 5 모더레이터 : 양혜정
- 이야기방3 : 지역과 문화예술교육의 이슈와 상생
- 이야기방4 : 고향으로 돌아간 예술가, 예술로 꽃 피우는 지역
- 이야기방5 : 우리집 애들, 예술하고 노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