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ose
  • tech
    2020 서울혁신주간

    INDEX
    Project 2020 서울혁신주간
    Year 2020.11.25~27
    Place 서울시청 태평홀 서울 온 스튜디오, 서울시 유튜브 채널
    Client 서울특별시 서울혁신기획관
    Agency 프럼에이 FromA

    CREDIT

    Coordination - tellikang Project Management - ChaeYeon JOO, Ujin Kim Communication - Jinsung Park Visual Identity Design - Visual Kei Filming - Mediaworks Photography - DAMG (Donga Media Group)


    기후위기, 그로 인한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는 점점 더 예측할 수 없는 양상으로 인간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부의 불평등과 빈부격차는 악화되었다. 이제는 이전의 방식을 넘어선 시스템, 새로운 서사가 필요한 때이다. 소수에게 집중된 부가 아닌 모든 인간의 번영으로, 자연의 착취가 아닌 인간과 지구의 균형을 맞추는 삶으로의 '전환'을 이뤄내야 한다.

    코로나가 전 세계를 멈춰 세운 올해, 서울시는 전환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의 장으로서 <도시전환, 함께 만드는 혁신의 물결>을 주제로 '미래혁신포럼', '전환 컨퍼런스', '공유도시 포럼' 구성으로 2020 서울혁신주간을 마련하였다. 3일간의 모든 프로그램은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홈페이지(siw2020.or.kr)를 통한 사전 신청을 받았다. 


    <Part 1. 미래혁신포럼>

    미래혁신포럼은 '기후 비상사태와 전환을 위한 경제'를 주제로 기후위기로 인한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와 이에 위협받는 인간의 삶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발표들이 이루어졌다. 본 세션에서는 도넛 경제 이론을 창시한 케이트 레이워스(Kate Raworth) 등 세계 저명 인사들과 함께 기후위기 등과 같은 전 지구적 위기상황에 극복을 위한 해법으로 전환을 위한 경제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시민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Part 1. 미래혁신포럼 : 기후 비상사태와 전환을 위한 경제 (11월 25일)

    기조발표 | 서울이 도넛경제 모델 범위 내에서 살 수 있을까? - 케이트 레이워스 (도넛 경제학 액션 랩 공동 설립자)

    발표 1 | 탄소중립 경제사회를 향하여 - 나네 파주넨 (씨트라/탄소 중립 순환 경제 전문가)
    발표 2 | 생태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와 지방의 통합 - 원테쥔 (중국 인민대학교 교수)
    발표 3 | 코로나, 사회적경제와 지역공동체의 힘 - 지안루카 살바토리 (폰테지오네 이탈리아 소셜 사무총장)

    패널토론 | (좌장) 정건화 (한신대학교 교수)

    Part 1. 미래혁신포럼_특별세션 : 글로벌 사회혁신 생태계에 남긴 서울의 사회혁신유산 (11월 25일)

    발표1 | 스마트 도시 서울 - 제프멀건(UCL 대학교의 집단지성, 공공정책 및 사회혁신분야 교수)
    발표2 | 근접성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 - 에지오 만지니 (데시스 네트워크 설립자)
    발표3 | 공유도시 서울 : 시민을 위한, 그리고 시민과 함께 상상하는 공간 - 루이스 폴포드 (SIX 대표)
    발표4 | 도시 속 지역 자치분권 - 피터 람스덴 (도시정책 및 사회혁신 전문가)
    발표5 | 창의적인 도시 공유지 : 포괄적 개발로 향한 길 - 아닐 굽타 (허니비 네트워크 설립자 겸 교수)
    발표6 | 상상력을 위한 도시 - 가브리엘라 고메즈몽 (익스페리민텔리스타 설립자 겸 디렉터)
    발표7 | 시민참여와 도시 속 실험 - 에이다 웡 (SIX 이사회, HKICC 설립자)

    패널토론 | (좌장) 루이스 폴포드 (SIX대표)


    <Part 2. 전환 컨퍼런스>
    전환 컨퍼런스에서는 각각 기업의 움직임, 지역순환경제, 전환을 향한 시민들의 실천, 세계도시정부의 노력을 주제로 이틀에 걸쳐 총 4개의 세션이 진행되었다. 그중 세션3 <전환을 향한 집합적 목소리 - 꿈꾸고 실천하고 연결하고>에서는 2020 서울혁신주간의 사전 캠페인으로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시민 1,775명이 참여한 '내일을 위한 전환, 일상실천21’을 진행하여 그 과정과 성과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캠페인은 습관 형성 도전 어플리케이션 '챌린저스' 플랫폼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내일을 위한 전환, 일상실천 21'에는 '(사)푸드포체인지', '팝업플레이 서울', '넥스트젠코리아', '기후변화청년단체GEYK', 'UN SDSN Youth Korea', '져스트 프로젝트', '고기없는월요일', '지구지킴이 쓰담쓰담' 등 총 8개 단체가 참여하여 시민들과 함께 전환을 위한 작은 실천을 수행했다.

    Part 2. 전환 컨퍼런스_전환세션1 : 2050년 서울, 기업과 함께 도시전환을 꿈꾸다

    사례영상 |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실험과 도전 - 슈퍼빈, 성남환경운동연합, 몽세누, 파타고니아
    발표1 | 건축재료 재활용에 특성화 된 디지털 마켓 플레이스 - 루씰 하몽 (바카시아 대표)
    발표2 | 접근성 개선으로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전환 - 박혜린 (이노마드 대표)
    발표3 | 협동조합으로 함께 만들어나가는 도농상생공동체 - 조완석 (한살림연합 대표)
    발표4 | 도시와 상생하는 기업시민 - 신지현 (한국IBM CSR팀 부장)
    발표5 | 전자폐기물 관리와 사회적 가치 - 이동현 (SR센터 대표)

    패널토론 | (좌장)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Part 2. 전환 컨퍼런스_전환세션2 : 팬데믹 넘어서기, 지역순환경제가 답이다

    발표1 | 리이코노미는 토트네스를 넘어 시민주도적 경제순환을 어떻게 이끌어냈는가? - 제이 톰프트 (토트네스 리이코노미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겸 공동설립자)
    발표2 | 지역순환경제(Local Circular Economy)를 위한 서울시의 유산 및 과제 - 이은애 (씨즈 이사장)
    발표3 | 지구를 지키는 사람들 '전환마을' - 유희정 (전환마을 은평 대표)

    패널토론 | (좌장)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장)

    Part 2. 전환 컨퍼런스_전환세션3 : 전환을 향한 집합적 목소리 - 꿈꾸고 실천하고 연결하고

    발표1 | 청년, 기후변화에서 자기효능감을 찾다 - 김혜진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 PM)
    발표2 | 매일 밥상위에서 나무를 심는 방법 - 이현주 (고기없는월요일 대표)
    발표3 | 1의 의미 - 허지현 (쓰담쓰담 대표)

    토크쇼 | (진행자) 박진희(배우) 

    Part 2. 전환 컨퍼런스_전환세션4 : 세계도시정부의 전환을 위한 여정

    발표1 | 전환도시 서울을 만드는 실천전략 - 정선애 (서울특별시 혁신기획관)
    발표2 | 15분 도시 : 살아있는 공동체의 관점을 통한 이동성에 대한 재고찰 - 칼로스 모레노 (소르본대학교 교수)
    발표3 | 암스테르담 도넛 콜리션 : 암스테르담 시민들을 번영하는 사회와 환경으로 안내하는 여정 - 제니퍼 드루인 (암스테르담 도넛 콜리션 커뮤니티 매니저)
    발표4 | 순환경제와 공유경제를 위한 헬싱키 도시의 로드맵 - 레오나 실버스타인 (헬싱키 시 환경 검사관)
    발표5 | 사회적경제가 생태전환에 기여한 사례 : 캐나다 몬트리올 - 조한 라보와 (몬트리올시 경제개발 서비스부터서 사회경제담당 책임자)
    발표6 | 우수한 성장과 지속가능한 성장 - 야롱 장 (심천 지속가능발전연구소 부소장)
    발표7 |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의 노력 -탄소중립 실현 로드맵을 중심으로- - 이동진 (도붕구 구청장)

    패널토론 | (좌장)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세션3 토크쇼 현장 모습


    <Part 3. 공유도시 포럼>

    공유도시 포럼은 코로나19 속에서 공공성이 겪고 있는 한계를 진단하고, 공공의 사각지대에서 시민들이 자율적으로 공유지로 만들어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사례들을 살펴봄과 동시에 정책적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총 2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국내의 공유지 사례를 들어보고 해외의 공유도시 전략을 들어보았다.

    Part 3. 공유도시 포럼_공유세션1 : 공유도시를 위한 상상과 협력

    발표1 | 마을예술창작소와 위기의 시기 - 이용희 ((사)마을예술네트워크 이사)
    발표2 | 아무도 돌보지 않는 공간에서 모두와 함께 성장하는 공간으로 : 미인도의 사례로 살펴보는 지역 공유지의 가능성 - 하장호 (협동조합 고개엔마을 대표)
    발표3 | 문을 걸어 잠근 창작공간 그리고 되돌아보기 서교예술실험센터를 예로 - 황유택 (제8기 서교예술실험센터 공동운영단)
    발표4 | 마을-공동체가 함께 하는 ‘돌봄’, 팬데믹에 맞서다 - 최준영 (신촌지역공동육아사화적협동조합 우리어린이집 운영위원)
    발표5 | 노인서로돌봄연대은행이 필요한 이유? - 고현종 (노년유니온 사무국장)
    발표6 | 서울역과 공원에서 밀려난 노숙인의 자리 - 이동현 (홈리스행동 사무국장)

    패널토론 | (좌장) 박배균 (서울대학교 교수)

    Part 3. 공유도시 포럼_공유세션2 : 코로나 시대, 회복력을 높이는 공유도시 전략

    발표1 | 도시를 공유하기 위한 새로운 상상력과 과제 : 제안부터 협업까지 - 이승원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전임연구원)
    발표2 | 코로나바이러스 유행에 대응하는 바르셀로나 시의회의 모범 사례와 사회 경제적 회복을 위한 시의 접근법 - 알바로 포로 (바르셀로나 시의회 사회적 경제 위원)
    발표3 | 공유도시의 미래 : 위기, 도시와 공동체 - 옥사나 몬트 (룬드대학교 교수), 율리야 보이텐코. 팔간 (룬드대학교 부교수)
    발표4 | 도시의 재구성 - 전화위복의 기회 - 하먼 반 스프랭 (Sharing Cities Alliance 대표)

    지정토론 | 백영경 (제주대학교 교수), 케스 맥코믹 (Sharing Cities Sweden 프로그램 진행자), 미셸 바우웬스 (P2P재단 대표), 마요 푸스터 (바르셀로나 카탈루냐 오픈대학교 Dimmons 연구 책임자)

    패널토론 | (좌장) 닐 고렌플로 (Sharable 대표)

    마무리 발언 | 정선애 (서울특별시 서울혁신기획간)


    2020 서울혁신주간은 서울시청 태평홀 서울 온 스튜디오의 360° LED스크린 세트장에서 촬영 및 중계 되었으며 총 6개의 온라인 세션이 진행되었고, 44명의 국내외 연사자가 참여했다. 서울 온 스튜디오의 360° LED스크린을 활용하여 현장 스튜디오에 방문한 연사자와 온라인 Zoom으로 접속한 해외 연사자가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며 토론을 진행할 수 있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컨퍼런스가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