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ose
  • art
    2022 1 Stage for 1 Player

    INDEX
    Project 2022 1 Stage for 1 Player
    Year 2022. 10~11
    Place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 예술청 5층 프로젝트룸
    Client 서울문화재단 예술청
    Agency (주)프럼에이 from A
    Category 공연예술

    CREDIT

    Coordination - tellikang Project Management - Sujin Park, Byoungyoung Park, Ji yoon Kim Communication - Byoungyoung Park Visual Identity Design - Seongmi Hong, Hyunsoo Lee, Heekyung Kim Filming - Elman Photography - Sihyunhada


    1인 플레이어의 무대가 세상의 주목을 받도록, 

    2022 1 Stage for 1 Player


    <1 Stage for 1 Player>(이하 '원스원플')은 공연예술 창작자 중 개인으로 활동하는 1인 플레이어를 조명하고자 기획된 사업이다. 창작 결과물 중심의 지원사업이 포착하지 못하는 '실연 자체'의 가치를 조명하고, 그 실연의 주체인 플레이어가 오롯이 자신에게 몰두하고, 자신만의 사유와 철학을 소개하며, 기량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2021년 시범 사업을 거쳐, 2022년 10월에는 사업에 선정된 60인의 릴레이 공연 <플레이어 주간>이, 2022년 11월에는 플레이어 주간 공연 리뷰를 바탕으로 포럼 <플레이어 톡>이 서울문화재단 예술청에서 진행되었다.    


    60인의 60가지 색, 플레이어 주간

    지원사업의 사각지대 속에서 1인 플레이어가 오롯이 스스로, 마이크와 악기 하나만을 들고 단 하나의 무대에 섰다. 루키와 베테랑, 정통과 파격, 스트라이커와 올라운더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스펙트럼 속 1인 플레이어 60인이 함께 했다. 




    공연예술 분야의 1인 플레이어와 그들이 오랜 기간 준비한 릴레이 공연이 세상의 주목을 받을 수 있도록, 플레이어 프로필 촬영을 '시현하다' 스튜디오에서 진행했다. 시현하다 스튜디오는 인물이 가진 고유의 색을 프로필 사진 속 컬러 배경으로 표현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플레이어 60인의 정체성을 프로필 사진에 고스란히 녹여냈다. 


    60인 모두의 이야기를 전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 주간 시작에 맞추어 사업과 플레이어 주간, 그리고 플레이어 60인을 소개하는 콘텐츠를 카드뉴스와 숏폼 영상으로 예술청 공식 채널에서 차례로 선보였다. 카드뉴스는 플레이어의 시현하다 프로필 사진을 활용한 콜라주 디자인으로 플레이어에 대한 대중의 주목도에 집중했다. 또한, 숏폼 영상은 플레이어의 열정과 공연에 대한 애정이 전해지도록 플레이어의 정체성과 공연에 대한 미니 인터뷰로 제작했다.



    플레이어와 공연에 대한 뜨거운 관심으로 1차 예매 오픈 후 1차~2차 공연 전석 120매가 매진되었다.


    플레이어의 릴레이가 끝나지 않도록,

    10월 말에 진행된 플레이어 주간 이후 한 달만인 11월 말, 플레이어 주간의 공연 리뷰를 바탕으로 플레이어 포럼을 진행했다. 서울문화재단 예술청 운영위원과 공연예술 분야의 전문가들, 그리고 플레이어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자의 시선과 관점으로 1인 플레이어의 세계에 대해 뜨거운 담론을 나누었다.





    플레이어들의 입체적인 세계가 보여지도록,

    플레이어톡의 키비주얼은 총 4가지 장르, 60인의 플레이어가 가진 다양한 스펙트럼을 입체적인 컬러와 도형으로 표현하였다. 키비주얼을 활용한 카드뉴스로 공연예술 분야에 플레이어톡의 의미와 그 가치를 전달했다. 플레이어 주간의 뜨거운 관심이 플레이어톡으로 이어져 전석 60매가 매진되었다. 


    공식 포스터

    광고 플랫폼 배너 배리에이션
    카드뉴스 배리에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