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ose
  • culture
    2022 경기도 브랜드 포럼

    INDEX
    Project 2022 경기도 브랜드 포럼
    Year 2022.12.17
    Place 수원컨벤션센터
    Client 경기도
    Agency 프럼에이 fromA
    Category 포럼

    Chance to Change

    브랜드로 여는 변화의 기회




    2022년 12월 17일, <제1회 경기도 브랜드 포럼>이 경기도민과 전문가, 기업가, 시·군 관계자 700여 명이 참석하며 경기도 브랜드의 비전 및 발전 방향성을 모색하고,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지역 브랜딩을 제고하는 논의의 장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브랜드로 여는 변화의 기회(Chance to Change)’를 주제로 전문가, 기업가, 시·군 관계자와 도민 등 도와 관련된 각 분야의 사람들이 한데 모여 경기도 브랜드를 논의한 것에 큰 주목을 받았다. 사전 신청에는 모두 555명이 참여해 경기도 브랜드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현장 등록 및 브랜드 전시관 참석자 150여 명까지, 총 700여 명 경기도민의 높은 참여율을 보이며 브랜드 축제의 장을 펼쳤다.



    제1회 경기도 브랜드 포럼 다시보기


    전문가부터 도민까지, 모두의 목소리를 담은 포럼

    1부 <변화> 세션은 전문가 및 패널 연사의 정책 브랜드 발표를 통한 경기도 브랜드 비전을 전달하고, 31개 시·군별 브랜딩 우수사례를 나눔으로써 경기도 브랜드 가치를 확산하고자 기획되었다. 


    조승연 (작가, 오마이스쿨 대표강사)

    박종연 (광명시청 도시계획과 공공디자인팀 주무관)


    <변화> 세션은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의 축사와 경기도민 공모전 수상작 시상을 시작으로, 148만 구독자를 보유한 ‘조승연의 탐구생활’ 유튜버이자 인문학 작가인 조승연 작가의 ‘명소가 되는 도시의 특징과 지역브랜딩’에 대한 전문가 강연이 진행되었다.

    또한 광명시 도시계획과 박종연 주무관이 ‘새로운 도시미이미지로 광명하다’를 주제로, 시·군 브랜딩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이어 경기관광공사 국내사업팀 장혜진 팀장이 ‘경기도와 도민을 잇는 경기둘레길’을 주제로 경기도 브랜딩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유홍준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2부 <기회> 세션은 경기도에서 제공하는 기회 브랜드 관련 전문가와 패널 연사의 발제, 도민공모전 수상작 발표를 통해 내가 꿈꾸는 경기도 브랜드 가치확산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저자이자 문화재청장을 지낸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유홍준 교수가 ‘관광 자원으로서의 경기도 문화유산과 브랜딩 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강연을 진행했다. 


    정지희 대표(혁신기업 메디아이플러스)


    이어진 패널 강연에는 정지희 경기도 청년 벤처기업가가 ‘기회의 바다, 경기도에서 생존하는 법’, 송윤주 경기도 사회적기업가가 ‘누구나 주인공이 되는 사회를 꿈꾼다’를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경기도민으로 산다는 것, 나의 경기도’를 주제로 경기도에서 살아가는 일상과 생각을 글과 그림으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도민참여 공모전 우수 수상작 발표를 통해, 경기도민이 직접 주인공이 되어 경기도 브랜드에 대해 발표하며 이번 포럼의 대미를 장식했다.


    직접 체험하는 경기 브랜딩






    경기도민과 시·군,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브랜드로 함께 소통하는 이번 포럼에서는 다채로운 부대행사 운영을 통해 즐길 거리도 풍성했다. 31개 경기도 시·군 브랜드를 만나볼 수 있는 브랜드 전시관, 나만의 브랜드를 찾아보는 퍼스널컬러 진단, 경기도민증 만들기와 도정 브랜드, ‘봉공이’ 캐릭터 컬러링을 통해 포럼에 참여한 도민에게 볼거리를 선사했다.

    현장에 참석한 도민들은 다양한 사례와 깊이 있는 강연을 통해 내가 살고 있는 경기도 브랜드를 한 번 더 생각해보고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2022 경기도 브랜드 포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 세션의 발표는 경기도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