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이 지난 5월 22일 개막했다. 휘트니비엔날레, 상파울로비엔날레와 함께 세계 3대 비엔날레 중 하나인 베니스비엔날레는 짝수 해에는 건축전, 홀수 해에는 미술전이 번갈아 열리는 국제 행사다. 비엔날레(Biennale)는 이탈리아어로 2년마다라는 뜻이다. 제17회 건축전은 지난해로 예정돼 있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올해로 연기되어 11월 21일까지 열린다. 올해 건축전의 주제는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가?(How Will We Live Together?)이며, 하심 사르키스(Hashim Sarkis)가 총감독을 맡았다.

 

베니스비엔날레의 주요 전시 공간은 크게 두 곳으로 나뉜다. 중앙 전시관 및 29개의 국가관이 모여 있는 카스텔로 공원(Giardini di Castello), 그리고 아르세날레(Arsenale) 지역이다. 두 곳 모두 이탈리아 베니스 남동쪽에 있다. 베니스비엔날레는 국가관별로 전시를 개최한다는 특징이 있다. 한국관은 1986년 처음 열렸다. 1995년 한국관 개관 첫해 전수천 작가가 특별상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1997년 강익중 작가, 1999년 이불 작가가 특별상을 수상한 바 있다. 아시아권에서 국가관을 운영하고 있는 국가로는 한국과 일본이 있다.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경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경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에서는 미래학교(Future School)라는 주제로 앞으로 우리의 삶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 탐구한다. 신혜원 감독은 긴급한 인류 과제로 기후 위기, 디아스포라, 혁신을 꼽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건축가, 그리고 참여자들과 함께 이러한 과제들을 풀어낸다. 기존의 비엔날레가 귀국 보고전을 여는 형식이었다면,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미래학교 참가자들과 소통한다. 미래학교의 최종 목표는 인류가 직면한 미래 과제에 맞서 새로운 연대를 구축하는 데 있다.

 

먼저 한국관의 오프라인 공간은 열린 캠퍼스처럼 조성됐다. 송률과 크리스티안 슈바이처(Christian Schweitzer)가 디자인한 한국관은 휴식과 명상을 위한 공유 공간, 그리고 토론과 교류를 위한 소통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문객은 이곳에서 일상과 배움의 경계를 허물고 휴식을 취하며 사유할 수 있다. 지상층 중앙에는 조경 건축가인 김아연이 제작한 갈대로 만든 카펫 블랙 메도우가 자리 잡고 있다. 도예가 정미선이 디자인한 미래학교 부엌에서는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제주 옹기에 담은 차와 음료를 대접했다. 안쪽의 미래학교 한지방은 한국의 옛 가정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지 장판을 모티프로 재현했다.

 

비엔날레 역사상 방문객에게 공개된 적 없었던 옥상은 신혜원 감독이 기획한 큐레이터 연합(Curators Collective) 활동의 일환으로 공용 공간이 되었다. 큐레이터 연합은 2020년 5월 신혜원 감독이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고자 각 국가관 큐레이터에게 화상 회의를 제안하고 소집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그는 약 40여 개 참여국 간의 공동성명을 통해 국가 간 협업 프로젝트와 연대 플랫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하심 사르키스 비엔날레 총감독도 큐레이터 연합을 이번 비엔날레 건축전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소개한 바 있다.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경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미래학교 온라인' Ⓒ 미래학교 온라인 캠퍼스

미래학교의 물리적 공간은 미래학교의 가상공간인 미래학교 온라인과 연결된다. 미래학교 온라인은 미래학교 참가자와 관객이 더 나은 미래를 구축하는 아이디어를 탐색하며 여러 프로젝트를 공유하는 교류의 장이다. 사람, 장소, 개념, 실천의 글로벌 연합체인 미래학교 온라인은 국경을 뛰어넘어 다양한 참여 양식을 촉진한다.

 

미래학교 온라인에 참여하는 이들은 기존에 자신이 행하던 배움을 내려놓고 다시금 배우는 과정에 동참한다. 참여자들과 관객들이 성장하고 변화하는 모습이 전체 전시의 일환으로 기록돼 송출된다. 이는 협업 과정을 촉진하는 아카이브로 기능한다. 워크숍, 강연, 퍼포먼스 등으로 구성된 50여 가지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미래의 대안적 교육을 모색하거나, 현대도시의 열섬 현상을 해결할 디자인에 관해 토론하는 등 인류의 미래를 논의하는 대화의 장이 마련돼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중 연대를 구축하는 가능성의 공간이 탄생한다.

 

다양한 전시 프로그램 중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PaTI)이 참여한 <DMZ, 경계를 걷다>가 눈에 띈다. DMZ는 남한과 북한 사이의 완충지대로, 군사적 충돌 위험이 상존하는 곳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에 의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으로, 자연 생태계를 잘 보존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파티(PaTI)는 가깝고도 멀게 느껴지는 비무장지대 DMZ를 목적지로 삼고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의 여러 이야기를 전한다. 정치적 긴장과 인간의 개입 없이 펼쳐진 자연이 공존하는 아이러니한 DMZ 공간에 대해 그들이 감각한 것을 각자의 방식으로 해석하여 시각화한다.

 

현대 무용가 안은미가 참여한 <미래학교 운동>은 마음과 정신의 관계를 일깨우는 매일의 운동이라는 부제로 진행된 퍼포먼스다. 한국의 시민들은 1960년대 이후 사무실, 학교, 기관, 그리고 심지어 건설 현장에 이르기까지 규정된 방식으로 일일운동을 해왔다. 비록 이러한 국민체조가 다양한 형태로 치환되지는 않았으나, 엄격하게 규제된 체조는 한국 문화의 일상에 깊게 새겨졌다. 이러한 전통적 맥락 속에서 안은미 무용가는 미래학교를 위한 특별한 운동 시퀀스를 만든다. 미래학교 운동은 방문객과 참가자 모두 아침, 점심, 저녁으로 수행하기에 좋은 움직임이다.

<학교의 미래학>이라는 대화 프로그램도 주목할 만하다. 이 시리즈는 현대 교육 문제를 짚고 미래 학교 교육의 대안적 형태를 제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학계와 창의 분야 인물들은 본 대화에서 현대의 교육 체계를 잠식하고 재구성하는 기술과 급진적 변화를 다룬다. 이들은 특히 학교가 아닌 학교 교육이라는 개념에 주목하며 민족국가의 건축적 설계에서 탈피해 학교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코로나19 상황으로 두 차례 연기됐지만, 온라인 프로그램이 강화되어 볼거리가 풍성해진 제17회 베니스비엔날레 건축전. 물리적 전시 공간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지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류가 함께 살아가는 공간을 상상하는 역할을 하는 건축가들의 작품들을 보다 보면 인류의 미래를 먼저 엿볼 수 있다. 지금도 디지털 가상 캠퍼스인 미래학교 온라인을 통해 세계 곳곳이 연결되며 새로운 콘텐츠가 아카이빙되고 있다. 비엔날레 기간에는 전시뿐만 아니라 워크숍, 토론, 회의가 온라인으로 계속 진행되므로 새로운 유형의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동시에 혁신적인 해결책이 공유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