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

코로나 19 발발 이후 국공립 미술관을 비롯한 대부분의 미술관이 개관과 휴관을 반복하고 있다. 미술관들은 휴관 상황에 대비하여 오프라인 전시에만 머무르지 않고 온라인 전시를 기획하는 등 나름의 생존 전략을 모색했다.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전시를 공개하거나, 온라인으로 참여 가능한 전시 연계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방식으로 자구책을 마련한 것이다. 관객의 접근성을 높인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관람객들의 호응을 끌어내는 등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하고, 비대면의 확산으로 인해 예술 전시의 문화 자체가 변화하면서 미술관들이 더욱 장기적인 관점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미술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관의 역할은 무엇인지, 앞으로 미술관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다양한 의견수렴이 필요해졌다는 것이다.

 

이 같은 요청에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 7월 미술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코로나 시대의 미술관’이라는 좌담회를 열었다. 비대면이 일상화된 상황 속에서 미술관의 역할을 다시금 설정해보려는 시도를 영상 속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국공립 미술관들은 코로나 19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온라인 전시와 전시 연계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좌담회에서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국립현대미술관은 온라인 미술관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집중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좌담회 참석자인 전승보 광주시립미술관장도 “디지털 전시는 기존의 물리적 전시와는 다르다는 것을 숙지해야 하고, 국공립 미술관들이 연계해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당분간은 온라인 전시 콘텐츠를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온라인 전시가 오프라인 미술관을 대체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안규철 작가는 “온라인 미술관의 가속화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만, 미술관은 나와 타자를 만나게 하는 플랫폼이므로 미술관이라는 장소의 경험을 근본적으로 대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미술관의 전면적인 온라인화는 미술관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고, 미술관의 근거를 포기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실제로 미술관에서 작품과 만나며 나 자신과 대면하는 능동적 경험은 유튜브가 해줄 수 없다. 미술관이라는 장소를 경험한다는 것은 무엇이고, 미술관의 미래는 무엇인지 질문을 던진 것이다.

 

여기서 미술관이라는 장소 자체에 대해 좀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미술관 공간은 미술 작품이 제의적(祭儀的)인 것으로 생각될 만큼 신성한 느낌의 공간이다. 이러한 느낌의 공간을 화이트 큐브(White Cube)라고 부른다. 실제로 뉴욕현대미술관(MoMA)을 비롯한 대부분의 유명 미술관들은 이러한 형태를 띠고 있다. 1976년 미술비평가 브라이언 오 도허티(Brian O’Doherty)가 흰 벽을 사용한 전시방식인 화이트 큐브 개념을 구체화하여 이것이 대표적인 전시 공간 모델이 되었다. 밝은 단색의 벽면에 작품을 띄엄띄엄 배치한 화이트 큐브는 작품 그 자체에만 집중하게 만들어 미술품 전시 공간의 이상적인 형태로 여겨진다.

화이트 큐브는 밝은 단색의 면, 자유 평면의 벽, 그리고 입방체 형식이라는 특성을 보인 미술품 전시 공간을 일컫는다 Ⓒ MoMA

그런데 화이트 큐브는 미술의 순수성을 강화하고 관람자에게 경건한 마음을 심어주지만, 대중의 접근 가능성을 낮추기도 한다. 그러므로 코로나 19 사태 이전부터 미술관들은 서서히 화이트 큐브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해왔다. 화이트 큐브의 대명사인 뉴욕현대미술관부터 달라졌다. 2019년 6월부터 5개월간 공간을 리노베이션하여 실험적 퍼포먼스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등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단행했다. 국내에서는 대림미술관을 필두로 대중이 접근하기 쉬운 일상적인 전시를 기획하고, 일반인도 쉽게 전시문화에 다가갈 수 있도록 벽을 낮추고 있다.

 

미술 작품이 온라인으로 전시되는 것도 화이트 큐브의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국의 대표적인 미술관인 테이트 모던(Tate Modern)은 앤디 워홀(Andy Warhol) 전을 개막한 지 5일 만에 코로나 19로 휴관하게 되자 온라인으로 전시를 공개했다. 국내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이 홈페이지와 유튜브, 페이스북을 통해 한국 근현대 서예사를 다룬 기획전 ≪미술관에 書(서): 한국 근현대 서예전≫을 온라인으로 선공개한 바 있다. 이외에도 국립현대미술관은 학예사들의 전시 해설과 소장품 강좌, 각종 교육 프로그램 등을 선보이는 등 코로나 19를 기점으로 화이트 큐브라는 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지속해서 하고 있다.

 

사립미술관인 사비나미술관은 언택트 뮤지엄(Untact Museum)을 내세우며 버추얼미술관을 운영 중이다. 현재 30개 이상의 전시를 VR로 감상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보조 수단에 불과했던 온라인 콘텐츠가 어느 때보다 늘어난 것이다. 아예 온라인에서만 감상할 수 있는 전시도 있다. 미술사가이자 전시기획자인 조은정 고려대학교 초빙교수는 올해 3월 코로나 19 상황에서 ≪미술관에서 만나는 평화의 전사(The peaceful warriors in museum)≫라는 제목의 전시를 기획했다. 서울에서 사진과 판화 작업을 주로 해온 김홍식 작가와 뉴욕의 박유아 작가, 런던의 신미경 작가, 파리의 윤애경 작가 작업을 한곳에 모았다.

 

본래 예술 작품은 특정한 시간, 특정한 장소에 찾아가야만 볼 수 있는 유일무이한 존재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으로도 미술 작품을 볼 수 있다면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의 표현대로 아우라의 붕괴가 일어나고, 예술 작품은 대중에게 한 발짝 가까워진다. 아직은 미술관에서 직접 작품을 감상하는 것과 동일한 경험을 온라인에서 할 수는 없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사용자 경험을 구현해낼 것으로 전망된다.

'미술관에서 만나는 평화의 전사(The peaceful warriors in museum)' 온라인 전시 메인 화면 Ⓒ sixshop

화이트 큐브로 대표되는 근대적 의미의 미술관은 코로나 사태로 인해 균열이 가속화되고 있다. 코로나 19 사태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미술관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예술은 의식주와 같은 필수재는 아니지만, 영혼의 양식이자 삶의 빛이다. 사람들이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는 일 또한 미술이 될 수 있다.

 

예술이 어떻게 상심한 마음을 위로하는지, 개인의 슬픔을 어떻게 큰 시야로 보는지, 어떻게 자연에서 위안을 찾게 해주는지, 어떻게 우리의 감수성을 훈련해 타인의 필요를 감지하게 하는지, 어떻게 성공적인 인생의 올바른 이상을 우리의 마음에 분명히 제시하는지, 어떻게 우리가 자신을 이해하도록 돕는지 분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