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

어디서 유래했는지 알 수 없지만 우리는 어릴 때부터 성공하려면 큰물에서 놀아야 한다는 말을 익히 들었다. 그 때문인지 많은 사람이 선진국으로 유학하러 가는 것이 성공의 큰 밑거름이 된다고 여겨왔다. 그러나 2022년 현재, 적어도 한 분야에서는 그 통념이 깨지고 있다. 바로 클래식 음악계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연주자들이 세계 유명 콩쿠르에서 잇달아 수상하며 낭보를 전해오고 있다. 2022년만 하더라도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콩쿠르에서 3명의 한국인이 수상했다. 올 6월 반 클라이번 콩쿠르(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에서 역대 최연소로 우승을 차지한 피아니스트 임윤찬을 비롯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Queen Elisabeth Competition) 첼로 부문에서 우승한 최하영, 시벨리우스 콩쿠르(International Jean Sibelius Violin Competition)에서 우승한 양인모가 그 주인공이다.

 

한국인이 유명 콩쿠르에서 우승하는 것도 대단한 일이지만, 더 중요한 사실은 세계적인 콩쿠르에서 한국인이 결선에 오르는 사례가 매우 보편적인 일이 됐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최하영이 우승한 2022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첼로 부문의 경연이 열리는 해였는데, 최종 결승에 오른 10명 중 한국인이 4명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시벨리우스 콩쿠르의 39명 준결승 진출자 가운데 한국인은 10명에 달했다. 이는 클래식계에서 소수의 한국인만이 두각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많은 한국인 연주자들이 세계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연주 기량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한다. 또한 이런 결과들은 더 이상 한국이 클래식 음악의 변방이 아님을 확인시키기도 한다.

 

잇따른 낭보가 들려오자 최근 들어 콩쿠르를 휩쓸고 다니는 우수한 국내 음악가가 많이 나올 수 있었던 배경에도 대중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숨겨진 많은 이야기가 있겠지만 여러 전문가는 한국만의 영재교육 시스템 구축을 가장 첫 번째 이유로 꼽는다. 2000년 초반 대한민국은 국가에서 직접 영재를 키우고 관리하겠다는 법을 제정했다. 이른바 영재교육 진흥법인 이 법에 따르면 영재교육은 영재를 대상으로 각 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분야의 교육 시설 혹은 기관을 만들어 별도의 과정을 통해 특화 교육을 하는 것이다. 각 학교의 영재학급, 영재학교 및 영재교육원 등이 이러한 시설의 예라 할 수 있다.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우승한 임윤찬 © The Cliburn

클래식 연주 분야의 경우, 대한민국의 유일한 국립 예술학교인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하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이 바로 그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현재 K-클래식을 이끄는 많은 연주자들이 바로 이 영재교육원 출신이며 여전히 많은 음악 영재들이 이곳에서 세계적인 연주자로 발돋움하고자 분투하고 있다. 앞서 소개한 임윤찬, 최하영, 양인모를 비롯해 바이올리니스트 정누리, 피아니스트 박재홍, 첼리스트 한재민, 피아니스트 김수연 등 작년과 올해 세계 유명 콩쿠르에서 입상한 대부분의 한국 클래식 연주가들이 바로 이 영재교육원 출신이기도 하다.

 

2008년 8월 문화체육관광부가 설립한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은 정규 교육기관은 아니다. 사실 이전에도 비슷한 기능을 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예비학교가 있었지만, 이는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직접 설립하고 운영하였기에 국가 주도 기관이라고 볼 수는 없었다. 이에 비해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은 국립이라는 점에서 그 상징성이 있다. 실기 능력(연주) 및 발전 가능성과 잠재적 능력을 가늠하여 선발된 음악 영재들은 자신이 원래 속한 학교에서 정상적으로 공교육을 받으며 평일 방과 후, 주말 및 방학을 이용해 영재교육원에서 수업을 듣는다. 모든 학생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소속 교수진의 강의 및 실기 지도를 받게 되며 모든 수업료는 국가가 부담한다. 우리나라 최고의 음악 선생님과 함께 동년배 최고의 대우를 받는, 말 그대로 국가가 키우는 인재가 되는 셈이다.

 

이곳에 입학한 전국의 음악 영재들은 레슨, 연주, 해외 음악 캠프, 연주회, 콩쿠르 참가 등 밥 먹고 음악만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삶을 살게 된다. 혹자는 연주하는 기계로 만드는 곳이라 비판할 수 있겠으나 결국 클래식 음악을 사랑하고 연주를 좋아하는 인재들은 살아남아 전문 음악인의 길을 걷게 된다. 그들에게는 이 영재교육원만큼 좋은 교육훈련 기관이 없을 것이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첼로 부문 우승한 최하영 © Queen Elisabeth Competition
한국예술영재교육원 수업 모습 ©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페이스북

또한 이외에도 한국인이 세계 클래식 음악계에서 주목받게 된 다른 배경에는 국내 기업들의 활발한 메세나 활동이 있다. 메세나는 기업이 문화, 예술, 스포츠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지원을 펼치는 사회 공헌 사업을 일컫는다. 이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기업의 의지 표명이자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클래식 음악계 또한 국내 많은 기업이 관심을 두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 분야 중 하나다. 기업이 소유한 건물의 일부를 콘서트홀로 만들어 다양한 클래식 및 뮤지컬 공연을 선보이는 것은 이미 보편적인 메세나 프로그램이 되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장학사업을 통해 국내 연주자들이 해외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직접 콩쿠르나 콘서트를 기획해 실력 있는 연주자들의 등용문 역할을 자처하고 있기도 하다.

 

금호아시아나의 경우, 오랜 시간 동안 국내 클래식 연주자들을 지원해 온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힌다. 특히 금호문화재단에서 주최하는 금호영재콘서트와 금호영아티스트콘서트는 우리나라의 많은 음악 영재들이 데뷔하는 대표적인 무대로 알려져 있다. 1998년 시작된 금호영재콘서트에는 만 14세 이하의 영재들만 참여할 수 있는데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뛰어난 음악 영재들에게 데뷔 연주회를 열어주는 방식이다.

 

앞서 언급한 연주자 대부분은 물론 손열음, 조성진, 조성현 등 국내 유명 클래식 연주자들 또한 금호영재 출신이라는 점에서 그 명성을 짐작할 수 있다. 금호영재콘서트에 선 음악 영재들은 이후에도 지속적인 지원을 받는다. 특히 금호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금호악기은행은 바이올린과 첼로 중에서도 명기로 꼽히는 과다니니와 마찌니 등의 악기를 직접 보유하고 이를 국내의 젊은 연주자들에게 무상으로 대여해 주고 있다. 또한 금호 영재로 선발된 이들에게는 해외 협연 연주회 참여 기회, 매니지먼트사 소개, 해외 항공권 지원 등을 통해 세계적으로 훌륭한 연주자로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아끼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금호아시아나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들이 국내 클래식계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현대자동차 정몽구재단에서는 2011년부터 온드림 문화예술 인재 장학생 제도를 시작해 국제콩쿠르에 참가하는 중학교에서 대학생까지의 연주자들을 대상으로 항공료, 숙식비, 악기 대여료 등을 지원함으로 예술 인재들이 금전적인 부담 때문에 자신의 기량을 펼칠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돕고 있다. 최근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우승한 임윤찬 또한 2020년부터 이 사업의 지원을 받는 장학생으로 알려졌다. 롯데문화재단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손을 잡고 장학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마다 20명의 음악 영재를 선발하여 1인당 800만 원의 장학금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유명 아티스트들의 마스터 클래스 개최 및 연주회 특별 출연 등의 기회를 제공해 음악 영재들의 성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2019 금호영재에 선발된 합격자들의 모습 © 금호아트홀 페이스북

콩쿠르 우승 횟수가 반드시 한 국가의 예술 문화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절대적 척도가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여러 콩쿠르의 결과를 통해 세계 음악계가 한국의 연주와 음악을 주목하고 인정한다는 점은 충분히 눈여겨볼 만한 사실이다. 누군가가 우리의 문화예술에 주목하고 궁금해한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국격을 높이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베토벤과 모차르트 때문에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알고, 비틀즈 때문에 영국에 방문하며, 마이클 잭슨 때문에 미국 문화에 열광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백범일지–나의 소원에서 김구 선생이 높은 문화의 힘을 가진 국가에 대해 피력한 것도 같은 이치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 예술에 투자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일은 한 나라의 국격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일이 된다. 그리고 국내 클래식 연주가들의 세계적 수준으로의 도약은 매우 반가운 일이다. 유명 인물 몇몇을 손가락에 꼽을 수 있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떠올릴 수 있는 우리나라 클래식 연주가들이 제법 많아졌다. 이들은 세계 무대에서 한국의 문화 예술 수준을 몸소 증명하고 있다. 연주자들의 뛰어난 성과 뒤에는 그들의 성공이 곧 한국의 성공이라 여기며 아낌없는 관심과 지원을 보내온 많은 손길이 있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 손길들이 작은 시내에서 커다란 용을 키워냈다.